반응형

전체 글 159

갑자기 티스토리 블로그 조회수 급등?! (한 달, 1일 1포스팅 결과)

제가 블로그를 하는 이유는 주식 공부를 하면서 기록을 남기려는 것도 있지만 사실 진짜 속마음은 이왕 공부도 하면서 소액이라도 용돈을 벌면 좋을 것 같아서 블로그 포스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옛날부터 잡다한 글을 올린 덕분에 이웃도 많이 맺고 조회수가 오르는 추세라서 계속하려고 했는데, 주식이라는 주제를 잡고 블로그를 새로 시작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 네이버 블로그보다는 티스토리 블로그가 수익성이 더 좋다는 얘기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선택하게 됐습니다. 역시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죠..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은 했지만 한 달의 기간동안 정성껏 1일 1포스팅 하는데 조회수가 미미하니 네이버 조회수와 비교가 되면서 아쉽더라고요. 8월 20일, 처음 블로그를 시작했을 때 친구들한테 홍보해서 조회수..

ETF에 투자하면 투자 수익률 상위권?! (부제 : 내가 ETF에 투자하는 이유)

1. 정규분포의 세상 제가 세상을 바라볼 때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정규분포입니다. 이유는 바로 우리는 이런 모양의 정규분포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X축을 성인 남성의 키(cm)라고 하고, Y축을 인원수(명)라고 가정한다면, X축 중앙에는 키가 평균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키가 큰 사람들, 왼쪽으로 갈수록 키가 작은 사람들이 존재할 것입니다. 모든 변수가 그렇지는 않겠지만 대부분의 변수는 비슷한 모양이 나올 겁니다. 시력, 체중, 달리기 속도, 시험 점수, 자산 규모 등등... 모양은 조금 다르겠지만 유의미한 통계를 낼 수 있는 변수라면 일반적으로 이런 모양의 그래프를 그릴 겁니다. 그러면 X축을 투자 수익률로 가정해 봅시다. 당연히 X축 왼쪽으로 갈수록 투자..

[유머] CEO 관상보는 방법 (부제 : 탈모 CEO는 정말 천재인가? / 관상매매법)

요즘 SNS에 많이 돌아다니는 글입니다. 저는 이 글을 보고 뭔가 엄청난 비밀을 깨달은 듯 충격(?)을 받았습니다. CEO가 머리털이 풍성하면 외모를 가꾸면서 여자를 꼬시러 다니니 그 회사는 매수하면 안 되고, 만약에 탈모라면 기업에만 신경을 쓰기 때문에 그 기업은 차후 성장해서 주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엄청난 가설(?)을 제시한 것이죠. 저는 이 가설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유명 기업들의 CEO를 생각나는 대로 조사해봤습니다! 애플 : 故 스티브 잡스 (탈모) 마이크로소프트 : 빌 게이츠 (평범) 아마존 : 제프 베이조스 (완벽한 탈모) 구글 :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순다르 피차이 (풍성) 테슬라 : 일론 머스크 (탈모 ▶ 모발 이식) 페이스북 : 마크 주커버그 (애매함, 가능성 있음)..

생일 선물로 '주식' 어떠세요?

제 친구 중에는 인싸 친구 한 명이 있습니다. 그 친구는 인맥 관리에 신경 썼으며, 그중 하나의 행동으로 지인의 생일을 잘 챙겨주는 거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 친구가 생일만 되면 치킨 기프티콘 같은 선물이 가득 쌓이게 되고 결국 그것을 처리하느라 애먹는 상황이 발생하더라고요. 저는 그런 모습을 보면서 '결국 선물을 받는 것도 본인이 해준 만큼 돌아오는 거 아닌가?', '굳이 필요 없는 거 선물해주느니 돈으로 주는 게 낫지 않나?', '아니 그럼 굳이 선물 주지 말고 서로 퉁치는 게 좋지 않나?'라고 공감능력 부족의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지극히 계산적으로 생각하면 제 생각이 맞겠죠. 하지만 생일 때 선물을 받는 사람의 입장에선 선물은 단순히 '돈'이 아닌 '정성'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저같이 계산적인 사람..

제 주식 계좌와 자산을 공개합니다! (30억 이상?!)

저는 5년 전부터 주식에 관심이 많아 정말 열심히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코로나 사태를 예상하고 모두 현금화 후, 저점을 잘 잡아서 이런 수익률을 낼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이런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 제가 도와드릴게요. 더 자세한 얘기를 듣고 싶거나 관심 있으신 분들은... 위 사진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어떻게 저런 수익을 냈는지 궁금하셨나요? 사실 위 사진은 제가 합성으로 만든 사진입니다. 위 사진과 내용을 보고 의심보다 감탄을 먼저 했다면 조금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작정하고 합성하면, 동영상으로도 만들 수 있고 더 세세하게 종목과 수익률까지 포함해서 완벽히 속이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처음 사진은 30분 만에 그림판으로 만든 합성 사진입니다. 이처럼 스크린샷으로 올렸으면 의심할..

[반도체 관련 ETF] SMH 쉽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SOXX와 간단 비교)

반도체와 관련된 우량 기업 25개에 분산 투자하는 SMH를 간단하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1. SMH 간단 요약 운용사 : VanEck Associates Corporation 추종 지수 : MVIS US Listed Semiconductor 25 INDEX (미국 상장 25개 반도체 지수) 1주당 가격 : $274.32 (약 320,000원) 1주당 배당금 : $1.50 (약 1,800원) Expense Ratio(수수료) : 0.35% Div Frequency(배당 주기) : 연 배당 Yield (배당률) : 0.55% Assets (운용 자산) : $6.10B (약 7조 원) 2. 투자 섹터 및 기업 SMH의 섹터 비중은 반도체 섹터 ETF 답게 모두 반도체 관련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유 종..

뇌가 저지르는 16가지 실수 (부제 : 투자에 실패하는 16가지 심리적 이유)

※ 해당 글은 "월가 아재의 행복한 투자"라는 유튜브 채널의 영상 중 일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주식 투자에 실패 혹은 실수하는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습니다. 1. 투자 전략 자체가 잘못된 경우 2. 내가 제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3. 인지 편향으로 인해 착각하는 경우 4. 감정 조절에 실패해 원칙대로 투자하지 못한 경우 오늘 소개드릴 내용은 뇌와 관련된 실수인 3번과 4번입니다. 내용이 많기 때문에 시간을 충분히 두고 읽거나, 나눠 읽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 인지 편향 1 : 고집 보수 편향(Conservatism Bias) : 새로운 정보를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믿음에 지나친 신뢰성을 부여하는 경향. 믿음이 오래될수록 그 믿음을 과대평가함. ▶..

주식 투자자라면 반드시 버려야 할 12가지 생각들 (feat. 피터 린치)

피터 린치가 반드시 버리라고 하는 "가장 어리석고 위험한 12가지 생각들" 1. 내릴만큼 내렸으니 더는 안 내려 2. 바닥에서 잡을 수 있어 3. 오를만큼 올랐으니 더는 못 올라 4. 너무 싼데? 얼마나 손해 보겠어 5. 결국에는 반드시 회복할 거야 6. 동트기 직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지 7. 10달러까지 오르면 팔아야지 8. 걱정 없어, 보수적인 주식은 안정적이니까 9.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지? 10. 사지 않아서 엄청 손해 봤군... 11. 꿩 대신 닭이라도 잡아야겠지? 12. 주가가 올랐으니 내가 맞았고, 주가가 내렸으니 내가 틀렸어... 누군가는 이런 글을 보면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저런 내용 다 지키면서 어떻게 투자해? 저건 다 그럴 싸한 얘기일 뿐이야. 누가 저거 몰라서 투자 못해? ..

[Episode 3] 67만 유튜버, 부읽남 정태익의 내 집 마련 강의 수강 시작!

주식 공부하면서 주식 관련 컨텐츠를 올리다가 갑자기 무슨 부동산 관련 강의를 듣는 건지 의아한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없겠지만...) 이유는 다른 거 없습니다. "내 집"은 우리가 살면서 "반드시 필요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주식 투자 수익률을 집값 상승률보다 높게 유지할 수만 있다면, 월세나 전세 살면서 주식 투자해도 상관없긴 합니다. 저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간과한 점이 있었는데 그건 바로 부동산(내 집 마련)은 안정적인 레버리지가 가능하다는 점과, 심적 안정감(멘탈 관리)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주식은 부동산 보다 리스크가 매우 높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잘못 사용했다가 하락장이나 보합장을 만나면 긴 기간 매우 괴롭고 힘들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내 ..

[코로나 관련 ETF] XLV 쉽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오늘 소개드릴 주식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매수를 고려해야 할 헬스케어 관련 ETF인 XLV입니다. 1. XLV 간단 요약 운용사 : State Street Corporation (미국 5대 자산운용사) 추종 지수 : S&P500 헬스케어 지수 1주당 가격 : $135.99 (약 160,000원) 1주당 배당금 : $1.76 (약 2,000원) Expense Ratio(수수료) : 0.12% Div Frequency(배당 주기) : 분기 배당 Yield (배당률) : 1.29% Assets (운용 자산) : $33.86B (약 40조 원) 2. 투자 섹터 및 기업 SPY의 섹터 비중은 헬스케어 관련 기업에 몰려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섹터 ETF 답게 깔끔하네요. 굳이 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