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9

[미국 성장 주식] 텐배거 가능할 것 같은 10가지 종목들 (종목 추천 절대 아닙니다!!)

*텐배거 : 10배 수익률(1000%)이라는 뜻으로 피터 린치가 사용한 용어입니다. 제 투자 포트폴리오의 15% 미만은 텐배거가 가능할 것 같은 주식에 분산투자하고 있습니다. 이 주식들은 절대 팔지도 않고, 폭락한다고 물타기 하지 않습니다. 정말 그냥 죽나 사나 가져가는 주식입니다. 이중 한 놈만 성공해도 나머지 주식의 손해를 메꾼다는 믿음으로 말이죠. 그만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주식입니다. 이 주식들을 잘 추려서 1~2개에 몰빵한다면 금방 부자가 될 수 있겠지만 사실 이 방법은 도박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 주식들은 적자 기업이 대부분이므로 언제 망해도 이상할 것이 없는 기업들이기 때문이죠. 물론 분기 보고서 읽고 매번 뉴스 찾아보고 해당 산업에 대해 꾸준히 체크하고 복잡한 계산을 하면서 추정 수익을 ..

[긴급] 네이버, 카카오 폭락?! 이유는? 줍줍 기회인가?

지금 카카오와 네이버가 줄줄이 폭락을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뭘까요? 지금까지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해도 별말하지 않았던 정부에서 드디어 규제라는 칼을 뽑았기 때문입니다. 지금 당장은 금융 플랫폼 회사에서 다른 금융 기업의 상품을 비교할 수 없게끔 했지만 이것을 시작으로 어디까지 규제가 들어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추가로 공매도가 들어오면서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지금 줍줍 기회일까요? 아래 두 가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1. 정부 규제가 계속될 것인가? 2. 규제를 하더라도 지속 성장이 가능한 기업인가? 우선 첫번째, '정부 규제가 계속될 것인가?'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은 "그럴 것 같다"입니다. 미국에서도 대형 플랫폼 기업들이 독과점화 되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내 돈을 지키고 사기 당하지 않는 방법 (원금보장, 리딩방, 로또 추첨 사이트, 돈 버는 게임, 코인 채굴)

0. 프롤로그 돈이 몰리는 곳에는 사람들 또한 몰립니다. 그래서 내 돈을 투자하는 방법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는 내 돈을 호시탐탐 노리는 사기꾼들이 있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매우 현란한 방법으로 사람들을 속이는데 어떻게 하면 이 유혹에서 벗어나 내 돈을 지킬 수 있는지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1. 원금 보장? 수익 보장? "이렇게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돈 법니다!", "원금 보장에 수익 2배 이상 보장합니다!", "이 주식 지금 10배 갑니다!" 같은 류의 광고글이나 광고 영상을 보신 적 있을 겁니다. 세상에 그런 쉬운 방법이 있으면 혼자 몰래 돈을 벌면 되지 왜 알려줄까요? 알려주는 이유는 다른 거 없습니다. 그 방법을 알려주는 것 자체가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2. 주식 리딩방..

[보복 소비 ETF] 명품 기업에 투자하는 ETF 추천!

전 세계는 부익부 빈익빈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상위 1%의 부자들이 나머지 99%의 재산을 합친 것보다 높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그리고 코로나가 지속화 되면서 밖에서 소비를 못하니 돈을 쓰고 싶어 안달난 부자들도 많아 졌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쌓인 돈들은 어디로 흘러갈까요? 우리는 그곳을 찾아야 합니다. 그곳에 투자 기회가 있을테니까요. 그래서 제가 소개해 드릴 주식은 바로 돈이 흘러갈 가능성이 높은 명품 주식을 모아놓은 ETF인 HANARO 글로벌 력셔리 S&P (합성) 입니다. 1. HANARO 글로벌럭셔리S&P(합성) 요약 자산운용사 : NH-Amundi 자산운용 (농협중앙회) 기초지수(추종지수) : S&P Global Luxury Index 1주당 가격 : 17,..

코인(암호화폐)과 주식의 차이점 (부제 : 코인 투자 하지 않는 이유)

주식과 코인(암호화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일을 하는 자산인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주식의 사전적 의미는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즉, 주식을 소유한다는 의미는 그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이죠. 그리고 회사가 돈을 벌면 주식 소유 비중으로 배당금을 나눠주거나 회사에 재투자로 인해 매출이 상승한다면 주가 또한 상승하여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식은 회사의 매출과 성장성에 따라 가치가 변하는 자산인 겁니다. 하지만 코인은 일을 하지 않는 자산입니다. 그냥 코인 그 자체로 가치를 갖는 것이죠. 다른 특별한 이유 없이 오로지 돈이 몰리면 가치가 높아지고 돈이 빠지면 가치가 낮아지는 겁니다. 그래서 코인 투자는 주식 투자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코인은 다른 가치보다 기술적 분석에 ..

2030 세대라면 연금저축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연금저축펀드 해야 하는 이유, 설명 및 장단점, 추천 ETF)

​ 연금저축펀드란 개인연금의 일종으로 증권사를 통해 개설 가능한 상품입니다. ​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만들어 단순히 돈을 납입하는 것만으로도 절세 효과가 있지만 해당 계좌에서 펀드, ETF 등 투자 상품을 통해 원금을 불려서 노후 준비를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에이~ 무슨 2030에 벌써 노후 준비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설명 드릴텐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연금저축펀드는 노후 파산에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신의 노후는 안녕할까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기명 교수팀에서 발표한 자료 중에 그래프만 가져왔습니다. x축은 재정적 어려움의 수준이고 y축은 자살 생각률(%) 입니다. ​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될수록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자살 생각률이 급등하는 것을 볼..

[국내 전기차 대장주] 현대모비스 간단 분석!

1. 기업 소개 현대모비스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자동차 모듈 및 부품 회사로 현대차와 기아의 주요 납품 회사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26조에 코스피 기준 14위에 해당하는 대형주입니다. 2021년 1월 10일 즈음에 애플과 현대차가 협업한다는 소식에 잠깐 급등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우하향하고 있는, 그렇게 예쁜 모양의 차트는 아닙니다. (말이 그렇다는 것이지 차트로만 판단하면 위험합니다!) 2. 간단 재무 분석 작년 코로나 타격 제외하면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약 5~6%로 낮은 편입니다. ROE도 7% 정도로 자기 자본 대비 수익률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이 부분은 제조 기업 특성상 낮을 수밖에 없긴 합니다. 다만 부채비율은 50% 미만, 당좌비율 120..

나는 지금 주식 투자를 해도 될까? (부제 : 절대로 주식 투자하면 안 되는 사람)

냉정한 현실이지만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사람은 소수입니다. 당장은 버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갈수록 수익률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통계적으로요. 한 증권사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11년 누적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5%가 연 2,000만 원 이상의 수익을 냈고 다른 5%는 연 1,000만 원 ~ 2000만 원 미만, 50%는 연 1,000만 원 미만의 수익을, 나머지 40%는 손실을 봤다고 합니다. 이 조사에 오차는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결과가 뒤집어질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하는 이유는 대체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거나 파이어족이 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연 2,000만 원의 수익으로는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파이어족이 되기엔 부족한 수치입..

[미국 배당 ETF] SCHD 쉽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오늘 소개드릴 주식은 미국의 유명한 배당 ETF 중 하나인 SCHD입니다. 1. SCHD 간단 요약 운용사 : Charles Schwab Corporation (미국 10대 금융 회사) 추종 지수 : 다우존스의 배당 우량주 100개 기업 1주당 가격 : $77.89 (약 91,000원) 1주당 배당금 : $2.19 (약 2,500원) Expense Ratio(수수료) : 0.06% Div Frequency(배당 주기) : 분기 배당 Yield (배당률) : 2.81% Assets (운용 자산) : $27.28B (약 30조원) 2. 투자 섹터 및 기업 SCHD의 섹터 비중은 순서대로 금융이 2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산업재(18%), 기술주(16%), 경기방어주(14%), 헬스케어(12%), 경기민감..

단타는 나쁜 걸까요? 단타는 왜 투기라고 할까요? (부제 : 단타하면 안 되는 이유)

1. 단타란? 주식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은 주식 투자라고 하면 차트를 보고 주가의 오르내림을 포착하여 잦은 매매로 시세 차익을 내는 방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하지만 위에 언급한 투자 방법은 '단타'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투자 방법과는 거리가 멉니다. 단타를 도박, 또는 투기라고 부르며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일반화이긴 하지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만약 제가 친구와 1억씩 투자해 음식점 창업을 한다면 음식점의 가치는 2억일 것이고 저와 친구는 음식점의 지분을 각각 50% 갖게 될 겁니다. 그런데 이 음식점이 대박을 쳐서 음식점의 가치가 10억이 됩니다. 더 많은 음식을 판매하고 싶어 2호점을 만들려고 하는데 10억 원이 부족합니다. 이 음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