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9

에코마케팅 상무, 주식 매수 공시 (부제 : 내부자 주식 매수 호재인가?)

1. 에코마케팅 상무의 주식 매수 과거 안다르 대표의 갑질 논란으로 안다르의 지분을 보유한 에코마케팅의 주가가 오늘 폭락을 했습니다. 아직까지 그 어떤 해명이나 행동을 취하고 있지는 않는데요. 저도 소액이지만 주주로서 에코마케팅의 입장문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그나마 주주분들 입장에선 조금 마음 놓을 수 있는 소식이 하나 생겼습니다. 바로 에코마케팅 지분의 약 2%를 보유한 공성아 상무가 이번 폭락장에서 에코마케팅 주식을 매수했다는 공시가 장 마감 후에 올라온 겁니다. 평단가 16,841원에 약 3만 주... 그러니까 본인의 돈으로 5억 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했는데요. 이는 호재가 맞을까요? 2. 내부자가 주식을 매수하는 회사 전설적인 투자자이자, 제 스승님(?)이신 피터 린치 선생님이 집필하신 이라는 책에 ..

안다르 직원, 대표의 갑질 폭로! 에코마케팅 위기인가?

1. 에코마케팅 간단 소개 저는 에코마케팅에 150만 원 정도 투자한 소액 주주입니다. 현재 -20% 손실을 보고 있지만 그래도 꾸준히 투자할 계획이었습니다. (211026 : 현재는 폭락 때 매수해서 투자금이 400만 원까지 늘었습니다.) 에코마케팅은 퍼포먼스 마케팅 회사로, 누가 봐도 별거 아닌 것 같은 제품들을 성공적으로 브랜딩 하여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이뤄낸 기업입니다. 대표적으로 미니 마사지기, 매트리스, 화장품, 젤 네일 등등... 얼핏 보면 뻔한 제품들로 아래와 같은 엄청난 매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그리고 에코마케팅 김철웅 대표는, "우리는 '기업의 병원'이 되겠다"라고 얘기했습니다. 기업의 아픈 문제점을 찾아내서 해결해서 해당 기업의 매출 성장을 이뤄내겠다는 뜻이죠. 에코마케팅의 3년간..

부동산은 돈을 버는데, 주식으로 돈을 잃는 이유 (부동산 vs 주식)

1. 부동산이 최선인가? 우리나라에는 주식으로 부자가 된 사람들보다 부동산으로 부자가 된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그리고 한국 사람들 자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에 투자되어 있기도 하고요. KB금융에서 발표한 2020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부자들이 부자가 될 수 있었던 부의 원천을 조사한 결과, 금융 투자(주식 투자)는 10%가 채 되지 않습니다. 부동산 투자가 압도적으로 높고, 그 다음으로 사업 수익과 상속/증여로 인해 부자가 됐다고 합니다. 물론 이런 말씀을 하는 분도 계실 겁니다. "한국 주식 시장을 봐! 요즘에나 좀 올랐지.. 박스피였다고! 그리고 한국은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개미들 돈을 털어먹기 때문에 한국 주식으로 부자가 되는 것은 불가능해!" 라고 말이죠. 정말 그럴까요? 2. 한국이라 돈을 못 벌었..

상속세 납부 위해, 삼성전자 1조 4000억 어치 주식 매각...?! 악재인가?

故 이건희 회장 유산의 상속세를 내기 위해 부인 홍라희 여사가 1조 7000억의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한다는 소식입니다. 요즘 삼성전자의 주가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썩 반가운 뉴스는 아니죠.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 대주주의 주식 매각 소식은 투자자들로 하여금 투심이 꺾이게 하니까요. 특히 개인 투자자들은 더욱 그럴 겁니다. 하지만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줄지언정 기업의 펀더멘탈에 영향을 주는 소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이런 노이즈로 주가가 하락하면 더 모아갈 기회가 생기는 거죠. 지배 구조가 흔들려서 삼성 일가의 경영권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은... 저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저보다 똑똑한 초 엘리트들이 한 곳에 모여서 故 이건희 회장 별세 전에 이미 관련 시나리오는 다 만들어 ..

[필수소비재 ETF] XLP 쉽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0. 프롤로그 우리는 살아가면서 반드시 써야 하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칫솔, 샴푸, 화장품, 면도기와 같은 생활용품은 우리가 죽을 때까지 소비해야 하는 제품이죠. 또한 음식과 물 없이는 사람이 살아갈 수 없습니다. 이렇듯 생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을 모아놓은 ETF가 바로, XLP입니다. 1. XLP 간단 요약 운용사 : State Street Corporation (미국 5대 자산운용사) 추종 지수 : S&P500 필수소비재 시가총액 지수 1주당 가격 : $70.05 (약 83,000원) 1주당 배당금 : $1.81 (약 2,200원) Expense Ratio(수수료) : 0.12% Div Frequency(배당 주기) : 분기 배당 Yield (배당률) : 2.58%..

워렌 버핏의 10가지 명언

1. 날아오는 모든 공에 스윙을 할 필요는 없다. 홈런이나 장타를 칠 수 있는 좋은 공이 날아올 때까지 기다려도 된다. 왜냐하면 투자에는 스트라이크 아웃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자산 관리를 하고 있을 때 관중들이 스윙을 하라고 소리를 지른다. 하지만 그것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해석 : 뭘 살지 모르겠다면, 공부가 안 됐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각종 언론과 매체,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지금이 주식을 사야 할 때라고 한다고 해서 사면 안 됩니다. 충분한 공부를 하고 기다리다 보면 어떤 주식의 주가가 매력적으로 느껴지거나 지금이 진심으로 기회라는 생각이 들 겁니다. 그때가 바로 과감하게 스윙을 해도 될 때입니다. 2. 잭팟을 터뜨렸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부러워 해선 안 된다. 이것이 성공적인 투자의 핵..

[화장품 관련주] LG생활건강 간단 분석!

0. 프롤로그 요즘 대한민국 대표 우량주 중 하나인 LG생활건강의 주가가 매우 많이 하락한 상태입니다. 코스피는 고점 대비 10%가 하락한데 비해 LG생활건강은 25% 이상 하락했습니다. 약 3년 전의 주가로 돌아간 수준이죠. 그렇다면 왜 LG생활건강의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지, 혹시 지금이 저가 매수 기회인지 간단하게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LG생활건강 연도별 매출 LG생활건강은 약 15년 동안 매출 상승 기록을 세우고 있는 엄청난 기업입니다. 최근 5년간의 매출과 순이익을 확인해봐도 실적이 감소했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상황에서도 매출은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화장품이 주요 BM인데... 외부 활동이 감소한 현 상황에서 어떻게 LG생활건강은 매출을..

코스피 3000 붕괴... 이대로 하락장 시작일까요?

1. 코스피 3000 붕괴 요즘 중국 관련 문제, 테이퍼링,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등... 여러 악재들이 겹치며 전 세계적으로 주식 시장이 참 안 좋습니다. 기어코 코스피는 3000이 무너진 상황에서... 이젠 정말 코스피는 3000의 벽에 갇혀 제2의 박스피 시대가 오는 걸까요? 코스피 4000은 한 여름밤의 꿈이었을까요? 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라 감히 앞으로의 주식 시장에 대한 전망을 할 수 없지만 정말 이거 하나만큼은 제가 확신할 수 있습니다. 언제 그랬냐는 듯이 주식 시장은 또 오를 겁니다. 반드시 오른다! 그 언제가 언제인지는 모릅니다. 그걸 알면 저도 이렇게 블로그 안 하고 있겠죠..?ㅎ 근데 다른 주식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도 못 맞추는 것이 시장 전망입니다. 맞추더라도 ..

[은행 ETF / 금융 ETF] XLF 쉽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0. 프롤로그 요즘 테이퍼링을 한다는 소식과 함께 금리 인상 이슈도 연일 화제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수혜 받을 기업들은 금융업 관련 기업이란 것에 반대하는 분은 없으실 겁니다. 그런 금융 기업들을 모아놓은 ETF인, XLF에 대해 간단히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XLF 간단 요약 운용사 : State Street Corporation (미국 5대 자산운용사) 추종 지수 : S&P500 금융업 지수 1주당 가격 : $38.15 (약 45,000원) 1주당 배당금 : $0.60 (약 700원) Expense Ratio(수수료) : 0.12% Div Frequency(배당 주기) : 분기 배당 Yield (배당률) : 1.58% Assets (운용 자산) : $41.57B (약 48조..

"10월에 역사적 폭락온다, 이걸 사라" -로버트 기요사키-

1. 폭락이 온다고?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이자 부자의 비밀을 알려주기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가 10월에 역사적 폭락이 올 거라고 전망을 했다고 합니다. 이런 기사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무섭나요? 아니면 우습나요? 아니면 정말 금, 은, 비트코인을 사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우리는 이런 상황에서 아래 3문항 중에 어떤 제스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까요? 1. 저 사람뿐만 아니라 수많은 주식 고수들도 폭락을 예고했으니 진짜 폭락이 오려나 보다... 너무 무서운데...? 요즘 장도 안 좋은데 지금 가진 주식 다 팔고 장이 좋아지면 다시 진입해야겠다! 2. 폭락? 개뿔... 맨날 틀리는 것들이 무슨 ㅋㅋ 기껏 해봐야 조정 살짝 오고 금방 회복하겠지... 그냥 풀 매수 때린다!..

반응형